본문 바로가기
유용하게 꿀팁 공부

'되' / '돼' 구분하는 법, 한 가지만 기억하세요

by 파란애호박 blue-zucchinii 2022. 7. 21.

 

목차 : Index

1.'하'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되', '해'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돼'

2. 종결 어미는 무조건 '돼'로 끝나야 돼!

 

 

 

메일, 메신저, SNS 등등 매일 우리는 수 천 개 수 만개의 단어와 마주하게 됩니다. 그럴 때마다 헷갈리는 특정 표현들이 있으시죠? 저도 마찬가지랍니다. 그럴 때마다 이것저것 찾아보지만 금방 또 잊어버리게 된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상에서 쉽게 헷갈리는 표현중 1가지인 '되 / 돼', '되요 / 돼요', '안되요 / 안돼요'에 대해 확실히 구분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금발에-하늘색-셔츠를-입은-여성이-궁금한-표정을-하고-있다

 

 

 


 

 

1. '하'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되', '해'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돼' 

되와 돼를 구분하는 아주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팁이 있습니다. 내가 쓰는 문장에 '되'를 넣을지 '돼'를 넣을지 헷갈리면 '되'나 '돼'가 들어갈 자리에 '하'와 '해'를 넣어보는 겁니다. '하'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되'가 맞고, '해'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돼'가 맞습니다.

 

'이해가 안되서 / 이해가 안돼서'

'이해가 안서 / 이해가 안서'

→ '안하서?' 어색합니다. 정답은 '이해가 안돼서'입니다.

 

'선생님이 되고 싶어 / 선생님이 돼고 싶어'

'선생님이 하고 싶어 / 선생님이 해고 싶어'

→ '해고싶어?' 어색합니다. 정답은 '선생님이 되고싶어'입니다. 

 

'먹어도 되요? / 먹어도 돼요?'

'먹어도 요? / 먹어도 요?'

→ '하요?' 어색합니다. 정답은 '먹어도 돼요?'입니다. 

 

'엄마가 되다 / 엄마가 돼다'

'엄마가 다 / 엄마가 다'

→ '해다?' 어색합니다. 정답은 '엄마가 되다'입니다.

 

'제가 하면 되요 / 제가 하면 돼요'

'제가 하면 요 / 제가 하면 요'

→ '하요?' 어색합니다. 정답은 '제가 하면 돼요'입니다 

 

2. 종결 어미는 무조건 '돼'로 끝나야 돼!

어떤 문장이든 '되'로 끝날수 없고 무조건 '돼'로만 끝날 수 있습니다. 위의 1 법칙과 이어지는 맥락입니다. 문장을 종결할 때 '하'로 끝나는 문장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문장은 '해'로 끝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기억하기 쉽죠?

 

해도 되 / 해도 돼

해야 되 / 해야 돼

얼마면 되 / 얼마면 돼

가면 되 / 가면 돼

안되 / 안돼

→ 정답은 모두 '돼'로 끝나는 것입니다.

 

 

 

 

 

 

 

'안' / '않' 구분하는 법,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안' / '않' 구분하는 법,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목차 : Index 1. '아니'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안', '아니하' 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않' 2. 문장에서 '안'과 '않'을 가리고 읽었을 때 자연스러우면 '안', 어색하면 '않' 오늘은 문장에서 '안'과 '

blue-zucchinii.tistory.com

 

 

'로서' / '로써' 쓰임새가 다른 맞춤법

 

'로서' / '로써' 쓰임새가 다른 맞춤법

목차 : Index 1. 로서 - 사람의 지위, 신분 등 자격을 나타내며 주로 앞에 사람과 함께 2. 로써 - 어떤 일에 대한 수단, 도구, 시간, 횟수 등을 나타내며 주로 사물과 함께 쓰임새가 서로 다른 '로서'

blue-zucchinii.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