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렵지만 경제 공부

"우리 집도 무량판 구조?"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으로 아파트 구조 확인하는 방법 알려드려요

by 파란애호박 blue-zucchinii 2023. 8. 28.

 

 

 

흑백 건설 현장의 타워 크레인
정석대로, 기본대로가 어려운 일인가?

 

 

 

최근 발생한 주차장 천장 붕괴 사고로 인해 많은 분들이 우리 아파트도 무량판 구조인지 아닌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사실 무량판 구조가 붕괴사고의 주된 원인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은 붕괴에 대한 공포감 때문에 집 구조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1. 벽식 구조 vs 기둥식 구조 vs 무량판 구조

 

아파트 구조는 크게 ①벽식 구조 ②기둥식 구조 ③무량판 구조 총 3가지로 나뉩니다.

 

벽식 구조는 저비용에 공사기간이 짧아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한국주택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벽식 구조의 평당 골조 공사비는 기둥식에 비해 시공비가 저렴합니다. 그러나 기둥 없이 벽이 위층 철근콘크리트구조 바닥을 지탱하기에 층간소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벽식구조보다 층간소음에 강한 기둥식 구조는 위층 바닥을 기둥과 기둥 아래의 보가 지탱합니다. 위층의 바닥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해 소음 차단 효과가 높습니다. 시공비가 비싸고 공사기간이 길어 최근 들어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무량판 구조는 기둥식 구조에서 보 없이 기둥만 슬래브를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층간소음이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자 벽식보다 층간소음에 강하고, 기둥식보다 시공비가 저렴한 무량판이 대체재로 떠올랐습니다. 다만 하중을 버티는 보가 없어 충격에 취약한 만큼 설계와 시공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아파트 붕괴 사진
무량판 포비아

 

 

 

2. 일사편리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과 상세 아파트 평면도로 구조 확인

 

각 행정구역을 포함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을 검색해 아파트를 찾습니다. 이후 아파트 주소를 입력한 후 층별현황에서 '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 평슬래브, 내력벽식' 등으로 나타나면 벽식 구조입니다. ‘철골철근콘크리트’라고 표시된 구조는 기둥식과 무량판 구조를 모두 포함하기에 구분 방법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때 무량판과 기둥식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포털사이트에서 평면도를 자세히 보는 것입니다. 평면도에 아무 것도 없으면 벽식 구조, 빈 사각형 안에 X표시가 있으면 기둥식 구조, 회색 음영의 사각형이 보이면 무량판식 구조입니다. 참고로 고가의 신축 아파트를 제외하고는 현재 시공 중인 대부분의 아파트는 무량판 구조라고 합니다. 

 

 


 

 

<행정구역 별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 사이트 바로가기>

 

서울 :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seoul.go.kr)

경기 :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gg.go.kr)

인천 : 인천광역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incheon.go.kr)

강원 : 강원특별자치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gwd.go.kr)

충남 :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chungnam.go.kr)

충북 : 충청북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cb21.net)

대전 : 대전광역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daejeon.go.kr)

전남 : 전라남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jeonnam.go.kr)

전북 : 전라북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jeonbuk.go.kr)

광주 : 광주광역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gwangju.go.kr)

경남 : 경상남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gyeongnam.go.kr)

경북 : 경상북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gb.go.kr)

부산 :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busan.go.kr)

대구 : 대구광역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daegu.go.kr)

울산 : 울산광역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ulsan.go.kr)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jeju.go.kr)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sejong.go.kr)

'어렵지만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뱅크 런 : Bank Run  (0) 2022.08.06
유니콘 기업 : Unicorn company  (0) 2022.07.24
퍼펙트 스톰 : perfect storm  (0) 2022.07.20

댓글